1. 미국인들의
‘만약 로또에 맞으면 그 돈을 어디에 투자할 것이냐’는 질문에
‘다운타운(도심)에 주차 빌딩을 살 것’이라고 대답한다. 주차장 투자는 건물 및 부동산을 구입할 뿐만 아니라 특별한 유지·보수나 관리 인력을 두지 않아도 현금이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편하면서도 수익이 높은 비즈니스이기 때문이다.
미국 시카고 도심에 있는 주차 빌딩을 살펴보자. 이 주차 빌딩은 한 줄에 20대를 주차할 수 있고 30줄이 있으므로 주차 공간은 총 600대다. 종일 주차비용이 하루 11달러이므로 하루 총수입은 6600달러다. 정기 주차가 아닌 몇 시간만 주차하는 뜨내기 차량을 기준으로 계산해도 시간당 8달러의 요금에 하루 12시간 정도 차량이 주차된다면 한 대자리에서 하루 96달러, 변수가 있겠지만 이 수익에 600대를 곱하면 수입은 어마어마한 규모다.
하루 수입을 단지 6600달러라고 가정해도 한 달 20일로 계산하면 한 달 수입은 13만 달러(약 16억 원)라는 매력적인 액수가 나온다. 그러나 주차장 운영비용은 건물 및 보상 보험료와 세금 외에 특별한 것이 없다. 따라서 이렇게 황금알을 낳는 주차장 비즈니스는 미국인들에게 로망으로 통한다.
2. 한국에서도 장래 주차장 사업은 블루오션
자동차 수가 많고 땅이 넓은 미국의 상황과 우리나라의 현실과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주차장 비즈니스는 한국에서도 매력적인 부분이 많다.
국내 차량 등록 대수는 올 상반기 1700만 대를 넘어선 데 비해 주차장 면수는 1400만 면이다. 주차장 확보율이 83%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서울시의 지난해 12월 말 주차장 확보율은 101%다. 하지만 차량의 야간 보관 장소와 주간 목적지에 따라 각각 100%를 확보해야 한다고 볼 때 자동차 등록 대수의 200% 이상을 확보해야 부족하지 않다.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중요도와 자동차 등록 대수의 증가를 고려했을 때 주차장 정비는 아직 성숙기에 이르지 않은 블루오션이라고 볼 수 있다.
3. 그동안 주차 서비스는 공급 주체가 공공적인 성격이 컸다.
하지만 수급 불균형인 현실을 감안할 때 주차 서비스는 시장재로서 점점 공급 차원에서 공공부문으로부터 민간부문으로 이전되고 있다. 지난 2006년 대기업에 속하는 GS칼텍스가 일본 주차 전문 회사인 ‘파크24’와 연계해 주차 서비스 사업에 본격 진출했다.
이렇듯 한국의 주차장 비즈니스는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고 경쟁이 치열하지 않아 큰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4. ‘미래 주차장+전기충전소’
“한편 미래 전기자동차가 일반화될 것에 대비해 주차장과 충전소를 복합적으로 운영하면 비즈니스 확장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5. 국내 주차장 비즈니스에 호주계 주차 업계도 지난 2005년 진출하여 윌슨 파킹코리아를 설립하고 명동의 눈스퀘어 쇼핑몰, 서울파이낸스센터, 장충체육관 등 38개 대형 주차장(총 8800대)을 운영하고 있다..
호주 뉴질랜드 홍콩 마카오 중국 두바이 등 아시아 태평양 전역에서 주차장을 운영 관리하는 윌슨파킹은 홍콩 최대 부동산 업체 중 하나인 선헝카이 개발회사(Sun Hung Kai Properties)의 대주주인 궉 씨 일가가 100% 소유하고 있는 윌슨파킹그룹아시아의 자회사다. 월슨파킹코리아는 향후 병원 호텔 대학 공항 컨벤션센터 등으로 운영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6. 서울시는 불법 주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현재 시장과 구청장이 임명하는 일반 공무원만 갖고 있는 단속권을 민간 사업자에 위임할 것을 오래전부터 검토해 왔다. 하지만 단속 과열과 예상되는 민원을 의식해 아직 현실화하지는 않고 있다. 주차 업계로서는 당연히 불법 주차 단속이 강화되기를 바라고 있다.
주차와 관련한 일본 사례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불법 주차는 교통 정체와 교통사고를 야기하며 도시 전체의 물류비용을 높이기 때문에 주차 관련 제도 및 법규의 정비가 시급하다.
성순효
'Car Parking(자동차 주차장) > 주차장 운영(Parking Manag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인주차 IT 시스템 도입해 자투리땅 금광으로 탈바꿈 (0) | 2012.08.12 |
---|---|
주차면을 활용한 독일 시의 심리 마케팅 "도전, 주차!"(Challenge, Parking!) (0) | 2012.07.16 |
서울시 주차장 이용 고객에 대한 주차요금 징수 방향 - 면재.할인율 및 종류 (0) | 2010.10.12 |
2008년 12월말 현재 전국 주차장 확보 현황 (0) | 2010.04.23 |
1. 주차장 운영사업 - 비즈니스의 블루오션 (일본 주차장 운영 사례) (0) | 2010.01.13 |
주차장 특별 약관 - 영업배상 책임보험 특별약관 (0) | 2009.12.28 |